통합 검색어 입력폼

암을 진단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조회수 2019. 12. 2. 08:4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암이 정말 생겼을까?
생겼다면 암이 발생한 위치는
정확히 어디일까?
어디까지 전이가 되었을까?

암이 의심되거나 진행단계에서
암을 확인할 때, 정확한 진단을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세요.

암에 대한 검사는 목적에 따라 암이 의심되지 않을 때 하는 조기검진을 위한 선별검사가 있고, 암이 의심될 때 하는 진단적 검사가 있습니다. 


또한 암이 진단된 후에 진행 단계를 결정하기 위해 검사를 하며, 치료 효과나 치료 후 재발 여부를 판명하기 위한 추적 검사를 합니다.


암의 확진과 진행 상태의 결정은 여러 가지 검사들을 종합하여 진단하게 됩니다.


의사의 진찰, 조직 검사, 세포 검사, 내시경검사, 암표지자검사, 영상진단검사, 핵의학검사 등이 있습니다. 


하나의 검사로 암이 확진되고 병기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까지 없기 때문에 암의 진단을 위해서는 여러 검사를 복합적으로 실시하며, 그 결과를 토대로 의사가 종합적으로 판단하게 됩니다.

● 의사의 진찰

암의 진단은 의사의 진찰을 통해 증상에 대해 상담하고 관련성이 의심되는 신체 부위에 대한 기본적인 검사를 받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그 예로 전신 진찰, 유방과 갑상선 등의 촉진 검사, 항문을 통한 직장수지검사 등이 있습니다. 

● 내시경검사

내시경검사는 검사 대상에 따라 위내시경, 대장내시경, 방광경 등이 있습니다. 


내시경을 통해 병변을 직접 관찰하면서 암의 크기, 모양, 위치를 평가하고, 동시에 조직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영상진단검사

영상진단검사단순방사선영상, 투시검사, 전산화단층촬영(CT)검사, 초음파검사, 자기공명영상(MRI) 등이 있습니다. 

단순방사선영상


단순방사선영상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해부학적인 구조 변화를 보기 위해 사용됩니다. 


X선을 이용하여 조직과 뼈 등의 모양이나 밀도의 변화, 윤곽의 불규칙성, 표면의 침식 정도, 흉강 등 체강의 액체 존재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폐와 유방, 뼈 등을 검사할 때 사용합니다. 

투시검사


투시검사는 단순방사선영상으로 구분이 잘 안되는 내부 장기를 검사하기 위해 사용되며, 조영제를 사용하여 장기의 모양과 위치, 병변을 검사하여 암의 진단에 유용하며, 수술 시 절제범위를 결정하는데 유용한 검사입니다. 


상부위장조영술(UGI), 대장이중조영검사, 대장투시검사이나 췌장암, 담도암에서 사용되는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ERCP) 등이 있습니다. 

전산화단층촬영(CT) 


전산화단층촬영(CT)검사는 X선을 이용하여 연조직의 해부학적인 상태를 단층으로 찍어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진의 모양으로 보여줍니다. 검사 결과로 병변이 악성인지, 양성인지를 구별하며 병변의 특성과 정확한 부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접 장기, 간, 폐, 림프절로의 전이 여부 등을 확인하는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 머리와 목, 폐, 복부의 장기를 평가할 때 사용합니다. 원발암을 검사하거나 전이 여부를 검사할 때도 유용합니다. 

초음파검사


초음파검사는 음파를 이용하여 비침습적으로 쉽게 할 수 있는 검사로 종양이 낭성(주머니형)종괴인지 고형(덩어리형)종물인지를 구별하는 등 종양 내부의 구조를 확인할 때 사용됩니다. 


또한 암이 주변 장기를 침범했는지 림프절 혹은 다른 장기로 전이되었는지를 검사할 때 유용합니다. 복부 장기와 갑상선, 유방, 골반 내의 난소, 자궁, 전립선, 심장 등을 검사할 때 사용합니다. 

자기공명영상(MRI) 


자기공명영상(MRI)는 인체 내의 특정 핵에서 기인된 자기장과 방사파와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여 여러 방면의 단층상을 인체의 측면과 종면으로 제공합니다. MRI는 장기 등 조직의 여러 형태를 인식하여 정상, 양성 종양, 악성 종양을 구분하기에 좋고, 병기나 전이 여부를 확인하기에 좋은 검사입니다. 


뇌, 척수, 유방, 근골격계, 복부 장기 등을 검사하기에 유용하나, 폐나 위, 대장 등과 같이 움직이는 장기의 검사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 핵의학검사

핵의학검사는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PET), 뼈스캔(골스캔), 갑상선스캔 등이 있습니다. 방사능 표지물질을 정맥주사하여 종양이 있거나 이상이 있는 부위에 방사능 물질이 농축되는 기전을 이용한 검사입니다.


뼈스캔의 경우 뼈로 전이되는 암의 전이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흔히 사용됩니다. 그러나 암이 아닌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방사능 물질이 농축될 수 있으므로 이 검사만으로 암을 확진하기는 힘듭니다.


양전자방출단층활영은 종양세포의 대사 변화를 단층촬영 및 3차원의 이미지로 암의 유무 및 분포를 나타내는 진단 방법입니다. 전이가 의심되나 다른 검사로 전이 위치를 알기 어려운 경우, 다른 검사로써 암과 감별이 어려운 경우에 유용합니다. 

● 종양표지자 검사

종양표지자는 암세포가 만드는 물질, 또는 암세포가 체내의 정상세포에 영향을 주어 나오는 물질로 혈액이나 조직, 배설물 등에서 여러 검사를 통해 검출이 되어 암의 존재를 알려주는 지표의 역할을 합니다. 


종양표지자의 검사를 이용해서 몸에 암이 있는지, 암세포의 성격이 어떤지, 수술 후의 잔류암은 없는지, 그리고 재발하지는 않았는지 등을 조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종류의 종양표지자는 암이 없어도 증가하거나 검출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것만으로 암을 확진하지는 않습니다.


종양표지자의 검사는 항체를 이용하여 혈액검사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조직 추출액, 소변, 대변 등에서 검사하기도 합니다. 


종양표지자의 종류는 암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합니다. 또한 하나의 검사로 사람에게 생기는 암을 모두 찾아낼 수 있는 종양표지자는 없으며, 타당한 종양표지자가 없는 암도 많습니다. 보다 나은 종양표지자를 찾기 위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습니다.

● 조직 · 세포병리검사

암의 확진은 암조직에서 암세포를 진단하는 것입니다. 하나의 기관에서도 암은 여러 종류의 세포에서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세포 검사를 통해 암세포의 종류를 확인해야 합니다. 


암세포를 검사하기 위해 암조직에서 암세포를 얻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피부를 절개하고 조직을 채취하여 검사할 수 있고, 주사기를 이용하여 세침흡인하여 미세침흡인생검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이때 피부에서 잘 만져지지 않거나 접근하기 힘든 장기를 검사할 때는 초음파나 CT검사, 투시검사 등의 유도하에 실시하게 됩니다.


내시경을 통해서도 작은 포셉으로 조직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혈액암의 경우는 직접 정맥 채취를 하거나 골수검사를 하여 암세포를 검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궁경부암의 경우는 작은 브러시를 이용하여 자궁경부의 세포를 채취하여 검사합니다. 그 밖에, 소변이나 가래, 뇌척수액 등을 직접 검사하여 암세포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암에 대한 바른 정보!
보건복지부, 국립암센터가 운영하는 국가암정보센터 (www.cancer.go.kr /1577-8899)에서 만나세요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