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뼈 깎는 수술 필요해..' 대한민국 여성 대부분이 걸려있다는 질환

조회수 2020. 10. 18. 08:0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발은 제2의 심장이라 불릴 정도로 중요한 신체 부위 중 하나이다. 비중으로 따지면 2%에 불과하지만 나머지 98%를 전부 지탱하고 있다. 하지만 양말이나 신발에 가려진 발의 건강을 챙기기란 쉽지 않다. 그 결과, 최근 발과 관련된 발목 염좌, 족저근막염 등의 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하이힐을 즐겨 신는 여성들이라면 온종일 축적된 피로를 발의 통증을 통해 느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래서일까, 실제로 대다수의 대한민국 여성들이 가지고 있는 질환이 있다. 바로, 무지외반증이다. 실제로 엄지발가락이 두 번째 발가락 쪽으로 휘면서 엄지발가락 쪽 관절이 튀어나와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초기엔 증상이 가벼워 무심코 지나치기 쉽지만 악화될 경우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불편을 겪을 수 있다. 오늘은 퀴즈를 통해 무지외반증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자.

1번

엄지발가락은 보행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실제로 보행 시 정상인이라면 엄지발가락에 체중의 약 60%가 실린다. 하지만, 엄지발가락 쪽 관절이 튀어나와 통증이 유발되는 무지외반증 환자는 발의 중지나 약지에 몸무게가 쏠려 정상적인 보행이 불가능해진다.

무지외반증의 단계별 증상은 다음과 같다. 엄지발가락이 휘기 시작하는 1단계, 관절 돌출, 통증이 시작되는 2단계, 뚜렷한 관절 돌출이 나타나고 통증이 동반되는 3단계, 다른 발가락까지 영향을 미쳐 통증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워지는 4단계이다. 보통 1~2단계 증상은 알아차리기 쉽지 않지만 발가락에 변형이 느껴진다면 병원을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2번

과거 여성 환자들이 압도적이었던 무지외반증. 하지만 최근에는 2030 남성 환자들이 늘고 있다. 2015~2019 진료인원 증가율은 남성이 17%로 여성의 2.6배에 달했다. 이는 가장 높은 발병 원인으로 꼽히는 발에 무리를 주는 신발 착용으로 인한 결과이다.

무지외반증의 발병 원인은 선천적 원인과 후천적 원인으로 나뉜다. 평발, 넓적한 발, 유연한 발이 선천적 원인으로 꼽히며 하이힐과 같이 볼이 좁고 굽이 높은 신발을 자주 신거나 외상을 입은 경우가 후천적 원인으로 꼽힌다.

3번

무지외반증 치료는 증상의 정도에 따라 진행된다. 뼈의 정렬 상태가 심하지 않거나 통증이 없다면 굽이 낮은 편한 신발을 착용하고 교정기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증상이 호전될 수 있다. 하지만 변형이 심하거나 통증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워진다면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과거 무지외반증 수술은 통증이 심하고 재발 가능성이 높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절골술, 연부조직 교정술이 등장했다. 뼈를 잘라 각도와 위치를 본래 위치로 교정하는 수술 등이 진행된다. 수술 후 보조장치 없이 걷기까지는 6주가량이 소요되며 그전까지는 목발 보행이 가능하다.

4번

무지외반증은 발의 통증은 물론, 2차 합병증까지 유발될 수 있어 치료를 늦춰선 안 되는 질환 중 하나이다. 증상을 방치할 경우 엄지발가락의 통증으로 잘못된 보행 습관이 생기고 발가락 관절염, 2번째~5번째 발가락 관절의 탈구, 지간 신경종 등의 2차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외에도 엉덩이, 무릎, 허리 통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으니 발견 즉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

5번

무지외반증을 예방에 가장 중요한 것은 편한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다. 하이힐은 5cm 이하의 굽을 착용하고 1~2시간 후에는 휴식을 취해야 한다. 아킬레스건 스트레칭과 따뜻한 물을 받아 족욕하는 것 역시 발의 피로를 풀어주는 데에 도움이 된다. 평발의 경우 발바닥 안쪽을 지탱해주는 깔창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6번

비교적 편한 신발을 즐겨 신는 어린이들과 무지외반증은 거리가 멀어보이지만 유병률이 30%나 된다. 발바닥 아치가 완성되는 6세~8세 시기를 특히 주의해야 한다. 어린이 무지외반증은 가족력, 유연성 평발, 좁은 신발, 짧은 아킬레스건, 상대적으로 긴 엄지발가락 등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어린이 환자의 경우 별다른 통증을 느끼지 못해 조기에 병을 발견하기 어렵기 때문에 부모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