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독 간호사가 화가가 되기로 결심한 이유

조회수 2021. 2. 25. 14:56 수정
음성재생 설정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재생시
별도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송현숙, ‘1획 위에 4획, 8획’, 캔버스 위에 템페라, 135×174cm, 2012

스무 살에 독일 땅을 밟은 송현숙 화가. 사실은 화가가 되기 위해 유학을 간 게 아니라 돈을 벌기 위해 간호사 모집에 자원했어요. 간호사로 일했던 그녀는 어떤 모습을 보고 운명처럼 화가가 되기로 결심했어요. 무엇 때문인지 이준희 건국대 현대미술학과 겸임교수와 함께 살펴봐요.


예전엔 학교에서 우리가 ‘단일민족’이라고 배웠습니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 이미 8세기 무렵 신라는 멀리 이슬람 문명과 교류했고, 반도의 북쪽 지역 사람들은 실크로드로 이어지는 대륙 문명과 끊임없이 영향을 주고받았어요. 이런 맥락에서 21세기 시대정신은 ‘다문화’임에 틀림없습니다.


실례로 지금 당장 서울 근교 공장지대나 농촌, 어촌 구석구석을 살펴보세요. 전국 곳곳에서 외국인 노동자를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습니다. 이들은 우리보다 조금은 가난한 나라에서 돈 벌러 온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대학가나 도시에서도 유학생, 여행객(물론 요즘은 하늘길이 막혀 관광객 수가 예전 같지 않지만)이 차고 넘칩니다. 뿐만 아니라 영어를 가르치는 이른바 ‘원어민’(?) 교사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직에 종사하는 외국인도 흔하죠. 아예 한국인과 결혼해 가정을 꾸리고 정착한 경우도 허다해요.


유럽이나 미국, 특히 뉴욕 같은 대도시는 일찍이 다인종, 다언어, 다문화가 공존해 왔습니다. 자연스럽게 나와 다른 사람에 대한 인정, 타 문화를 존중하고 수용하는 열린 태도, 즉 개방성이 중요한 사회적 가치로 인식돼 왔어요. 배려와 관용, 존중의 정신이 전통처럼 축적돼 왔어요.


4년간 독일에서 간호사로 일해

하지만 최근 유럽과 미국 일각에서 벌어지는 일을 보면 예전 같지 않습니다. 난민수용 문제나 인종차별 사건 등으로 과거의 고귀한 정신이 훼손되고 있는 것 또한 엄연한 현실입니다. 우리는 고도 압축성장의 터널을 쉼 없이 지나왔다. 산업화라는 이름의 초고속 열차에 탑승한 채 말이죠. 이제는 잠시 멈출 때예요.


가쁜 숨을 가다듬고 차분히 뒤도 돌아보고 진지하게 미래를 모색할 때입니다. 다문화와 맞닥뜨리게 된 작금의 우리 상황은 서구 사례를 타산지석,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거예요. 앞서 언급한 외국인 노동자, 한국으로 돈 벌러 온 이국의 젊은이들. 이들 사례는 남의 나라 얘기가 아닙니다. 우리도 똑같은 과거가 있었어요. 1960~70년대 산업화 과정에서 월남에 파병된 군인, 사우디아라비아나 리비아 같은 중동 국가 건설현장으로 파견된 수많은 노동자. 그리고 독일로 떠난 광부와 간호사들이 그들입니다.

▶송현숙, ‘6획’, 캔버스 위에 템페라, 180×135cm, 2007
송현숙은 1952년 전라남도 담양군 무월리에서 태어났습니다. 대나무숲이 빼곡한 산골마을이에요. 광주수피아여중·여고를 졸업한 스무살 송현숙은 1972년 독일로 떠났습니다. 화가가 되기 위해 유학을 간 게 아니에요. 돈을 벌기 위해 파독(派獨) 간호사 모집에 자원해 독일 땅을 밟은 것이죠. 같은 이유로 수많은 청년들이 독일 탄광에서 광부로 일했습니다. 송현숙은 4년간 독일에서 간호사로 근무했는데요. 말이 간호사지 병원에서 가장 힘들고 궂은일을 도맡아 했습니다. 마지막 1년은 정신병동에서 약물 중독자를 돌봤습니다. 그때 정신병원에서 환자들에게 미술치료를 하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운명처럼 화가가 되기로 결심했어요.

간호사 계약기간을 마치고 고국으로 돌아간 경우가 많았지만, 송현숙은 독일에 남아 뒤늦게 미술대학에 진학했습니다. 1978년 일이죠. 함부르크조형예술대학에서 배운 것은 미술 기술이 아니라 “마음속에서 우러나오는 것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법”이었다고 합니다. 1985년엔 전남대학교 미술대학에서 교환학생 자격으로 1년간 동양화와 한국미술사를 공부했어요. 그때 이태호 교수에게 고구려 고분벽화, 도자기, 불교미술, 겸재 정선, 민화 등에 대한 강의를 들었습니다. 그리고 한국의 문화유적지를 답사하고 서예를 배우기도 했어요. 이 경험을 계기로 한국적인 것이 무엇인지 나름대로 포착하게 되었다고 회상합니다.

한국의 정서를 현대적 감각으로 표현

송현숙의 그림은 단순합니다. 일필휘지(一筆揮之), 최소한의 붓 자국으로 함축적 이미지를 표현했어요. 나무 말뚝이나 빨랫줄에 걸린 투명한 천, 한옥, 우물, 항아리, 할머니 등을 연상시키는 이 형상은 추상을 넘어선 의미의 결정체입니다.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한국의 정서가 농축된 화가의 숨결이 있습니다. 신중하게, 단숨에 그어진 선을 따라 시선을 옮겨보라. 그러면 그림 그리는 화가의 호흡과 손놀림이 그대로 느껴집니다.

▶송현숙, ‘붓질의 다이어그램(4월 16일 세월호 비극을 생각하며 그린 그림)’, 캔버스 위에 템페라, 170×240cm, 2014

작품 제목 역시 간결하고 군더더기 없습니다. ‘6획’, ‘28획’, ‘1획 위에 4획’, ‘4획 뒤에 인물’…. 구차한 설명이 없습니다. 붓질의 획수가 그대로 작품 제목이죠. 그림을 보고 무엇을 연상하든 그건 보는 사람의 몫. 화가는 내면으로부터 숙성된 감정의 흔적을 절제된 붓질로 분출할 뿐입니다.


또 한 가지. 송현숙이 사용하는 재료와 기법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달걀과 송진기름에 안료가루를 섞어서 사용하는 템페라(Tempera)로 그림을 그리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대해 이태호 교수는 “수성물감이 주로 발달했던 동양인의 회화 정서와 맞닿는 점이기도 하며, 풀비로 그린 하얀 천을 늘어뜨린 질감은 마치 조선 초기 분청사기에서 도공들이 도자기 표면에 백토를 풀어 붓으로 활달하게 바른 ‘귀얄무늬’ 기법을 연상케 한다”고 평한 바 있습니다. 이에 대해 송현숙은 “내가 작업하는 자세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농부의 마음과 같습니다. 아무것도 없는 땅을 갈아 씨를 뿌리고 거두듯, 나는 텅 빈 캔버스에 붓질을 통해 작품을 가꿉니다. 복잡하지 않고 간단명료하게 말입니다”라고 호응했습니다.


송현숙은 지금도 독일 함부르크 외곽에 있는 집 겸 작업실에서 지냅니다. 작가이자 이론가이며 함부르크조형예술대학 교수였던 남편 요헨 힐트만은 전생에 분명히 한국의 고승(高僧)이었을 것이라고 말할 만큼 한국(문화)에 각별한 애정을 지닌 인물입니다. 1997년엔 화순 운주사 천불천탑에 대한 책, <미륵>(학고재)을 출간하기도 했습니다. 이 책은 관광지로 개발, 훼손되기 전 운주사의 원형을 흑백사진으로 잘 보여주는 소중한 자료입니다.



ⓒ이준희 건국대 현대미술학과 겸임교수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